[STN뉴스] 반진혁 기자 | 파리 생제르맹(PSG)이 토트넘 홋스퍼를 꺾고 우승에 도달했다. 이강인도 번뜩였다.
PSG는 14일 오전 4시(한국시간) 이탈리아 우디네에 위치한 스타디오 프리울리에서 토트넘과의 유럽축구연맹(UEFA) 슈퍼컵에서 2-2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에서 우위를 점하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슈퍼컵은 직전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UCL), 유로파리그(UEL) 우승팀이 대결하는 이벤트 매치다.
PSG는 프랑스 클럽 처음으로 UEFA 슈퍼컵 우승이라는 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
이강인으로 시선이 쏠렸다. 2008년 박지성 이후 17년 만에 슈퍼컵 출전을 노리는 중이다. 더불어 우승까지 조준한다. 당시 제니트는 김동진, 이호가 있었는데 출격은 불발된 바 있다.
박지성은 당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덜미를 잡히면서 우승은 무산됐다.
이강인은 후반 23분 교체로 그라운드를 밟으면서 슈퍼컵에 출격했다.
경기는 토트넘이 먼저 기선제압에 나섰다. 전반 39분 프리킥 상황 이후 혼전 상황에서 미키 반 더 벤이 득점포를 가동했다.
토트넘은 전반 추가 시간 모하메드 쿠두스가 날카로운 헤더 슈팅을 선보였지만, 골대를 강타하면서 아쉬움을 삼켰다.
토트넘은 후반전도 공세를 가했다. 그러던 후반 3분 추가골을 터트렸다. 페드로 포로가 연결한 크로스를 크리스티안 로메로가 머리로 득점을 만들었다.
PSG는 반격에 나섰다. 후반 21분 브래들리 바르콜라가 오른발로 득점포를 가동했지만, 오프사이드 선언으로 고개를 숙였다.
PSG는 교체 카드 사용 이후 더 고삐를 당겼다. 그러던 후반 40분 이강인이 비티냐가 내준 것을 강력한 왼발 슈팅으로 연결했고 이것이 그대로 득점으로 이어졌다.
추격 의지에 탄력을 받은 PSG는 후반 추가 시간 경기를 원점으로 만들었다. 우스만 뎀벨레의 크로스를 곤살로 하무스가 머리로 극적인 동점골로 연결했다.
경기는 곧바로 승부차기로 돌입했다. PSG는 비티냐가 실축했지만, 하무스, 뎀벨레, 이강인, 누누 멘데스가 차례로 성공하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토트넘은 반 더 벤, 마티스 텔이 실패했다.
이강인은 PSG 데뷔 이후 꾸준하게 활약하면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이번 시즌도 유효하다. 두 자릿수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면서 힘을 보태는 중이다. 특히, 가짜 공격수 역할을 잘 수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에서는 철저하게 외면받았다. 리그와는 다르게 유럽 대항전에서는 전력 외 취급을 받았다.
이강인은 직전 시즌 UCL 결승전에서 벤치에서 출격 명령을 기다렸지만, 출전은 끝내 불발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강인의 포지션 논란도 있었다.
PSG의 엔리케 감독은 최근 기자회견을 통해 이강인의 포지션 변경에 대해 언급했다.
엔리케 감독은 “이강인에게 수비형 미드필더가 이상적인 포지션은 아니라는 건 안다. 하지만, 모든 선수가 원하는 위치에서 뛸 수는 없다. 이런 상황도 정신력 측면에서 많은 걸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강인이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결국은 선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새로운 포지션에서 뛰면서 더 많은 경험을 하면 성장할 수 있다”며 이해하기 힘든 발언을 꺼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적설이 터졌다. 프랑스 매체 ‘레퀴프’에 따르면 PSG는 적정한 가격이면 이강인의 판매를 고려할 것이다. 하지만, 어떤 선수도 헐값에 팔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프랑스 매체 ‘라이브 풋’은 “PSG가 이강인을 처분할 수 있다.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으며 다가오는 여름 이적을 준비하고 있다. 대체자를 찾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고 전했다.
이어 “PSG는 이강인에게 투자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 2,200만 유로의 안정적인 이적료로 루이스 엔리케 감독 체제에 적합한 선수로 평가됐고, 아시아 시장에서도 높은 잠재력을 보였다”고 언급했다.
이강인도 흔적을 지우면서 관심이 쏠리는 중이다. 개인 채널 프로필에서 PSG 관련 정보를 삭제한 것이다. 이적설이 나오면서 시선이 집중됐다.
프랑스 매체 ‘풋01’은 “이강인은 PSG의 루이스 엔리케 감독 구상에서 완전히 제외된 선수 중 한 명이다. 여름에 매각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강인은 아직 이렇다 할 뚜렷한 이적설이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STN뉴스 보도탐사팀 제보하기
당신의 목소리가 세상을 바꾸고, 당신의 목소리가 권력보다 강합니다. STN뉴스는 오늘도 진실만을 지향하며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 1599-5053
▷ 이메일 : news@stnsports.co.kr
▷ 카카오톡 : @stnnews
STN뉴스=반진혁 기자
prime1224@stnsport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