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메신저 감시?” 러시아, 텔레그램 쓰면 체포까지… 인권 논란

“대통령이 메신저 감시?” 러시아, 텔레그램 쓰면 체포까지… 인권 논란

사진=나남뉴스 

9월부터 러시아 정부가 SNS 어플인 ‘맥스(MAX)’ 설치를 국민들에게 의무화시키고, 다른 SNS 어플들은 퇴출시키겠다고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다. 

러시아의 ‘국민 메신저’로 알려진 텔레그램 또한 서방 정보당국에 기밀 노출 우려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며 인권 논란도 거세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독립매체 ‘메두자’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9월 1일부터 국민들의 모든 스마트폰 기기에 국가공인 SNS 앱 ‘맥스’ 설피를 의무화한다고 전했다. 

러시아 정부가 준비한 이 법안은 원래 7월 1일부터 발효 예정이었다. 하지만 맥스 어플의 베타 테스트 등 준비 작업 기간이 소요되며 9월 1일로 연기됐다. 오는 9월 1일부터는 공무원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맥스 외에는 다른 SNS를 사용할 수 없을 전망으로 보인다.

러시아인 90% 사용하는 ‘왓츠앱’… 오는 9월 1일부터 ‘제한’ 전망 

사진=푸틴X 

지난 3월 개발된 어플 ‘맥스’는 5월경 러시아 정부로부터 국가공인 SNS로 지정됐다. 러시아 정부는 학교 교사들부터 공무원, 군인들에까지 맥스 사용을 강요하며 점차적으로 사용자를 늘렸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러시아인 90%가 사용한다고 알려진 ‘왓츠앱’은 오는 9월 1일부터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측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발발 이후인 2022년부터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사용을 금지했다. 

현재 러시아는 방화벽 우회 인터넷 가성사설망인 VPN 사용도 제한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서 극단주의 매체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3000~5000 루블의 벌금이 부과되는 전망이 지난달 24일 통과됐다. 

사진=푸틴X 

만약 VPN 서비스를 광고하면 최대 8만 루블의 벌금(개인)이 부과되며 기업은 이보다 더 많은 최대 50만 루블의 벌금이 부과된다. 최근 들어 러시아 측은 텔레그램 제재도 더욱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시간 지난달 23일 러시아 경찰은 텔레그램 뉴스채널의 편집장과 직원 등 5명을 ‘경찰 내부 정보 유출’ 혐의로 구금했다. 이 뉴스 채널은 러시아범죄 뉴스 전문 채널로 약 15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채널이다. 

지난해 1월에는 유명 군사 블로거인 ‘이고리 키르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참전용사 출신인 그는 텔레그램을 통해서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러시아군을 비판하며 푸틴 대통령을 ‘겁쟁이’라고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러시아 정부의 행보를 두고 우려의 목소리를 전하고 있다. 러시아 인터넷보호협회장 미하일 클리마레프는 “러시아 내 맥스 사용자가 늘어나서 텔레그램을 대체할 수준이 되면 텔레그램도 전면 금지될 가능성이 있다. 텔레그램은 망명 중인 러시아 정치인, 언론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중요한 창구다. 이게 막히면 러시아 인터넷은 황폐화될 것”이라며 근심했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