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구글 이스터 에그(Google Easter eggs)란
미국의 기업 구글에서 2000년 경부터
구글 검색, 유튜브, 그리고 안드로이드와 같은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에 추가한
만우절 농담 및 장난을 가리킨다
비트박스
이건 이스터에그라기보다는
구글 번역기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비트박스 효과’에 가깝다.
방법은 간단하다.
구글 번역에서 언어 설정을
영어 -> 독일어로 맞춘 뒤
특정한 문장을 그대로 입력하고
음성 출력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텍스트가 독일어 음성 규칙에 따라
자동 발음되면서
마치 비트박스나 전자음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엄밀히 말하면 이스터에그는 아니지만
이걸 우연히 발견하고 공유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그 덕분에 일종의 밈처럼 자리잡은 셈이다.
눈 내려라
Let it snow는 구글에서 한때 제공했던
시즌 한정 이스터에그(Easter Egg) 중 하나다.
구글 검색창에 Let it snow라고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뜨는 동시에 화면 전체에
눈이 내리기 시작하고 시간이 지나면
브라우저 화면에 서서히 성에가 끼는 효과가 연출된다.
사용자는 마우스로 성에를 문질러 지울 수 있고
‘Defrost(서리제거)’ 버튼도 등장한다.
다만 이 효과는 2011년 크리스마스 시즌에만
한정적으로 제공되었고
현재는 대부분의 최신 브라우저나
운영체제 환경에서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기울어진 운동장
구글 검색창에 tilt나 askew를 입력하면
실제로 검색 결과 화면이 살짝 비틀리듯 기울어진다.
한쪽으로 치우친 것처럼 보여서
마치 나거한에서의 한녀 쪽으로 기우는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듯한 느낌도 든다.
지금도 작동하긴 한다.
다만 브라우저나 기기 설정에 따라 안 되는 경우도 있어서
모든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똑같이 보이지는 않을 수 있다.
공중제비
do a barrel roll은 구글의 유명한 이스터에그 중 하나다.
구글 검색창에 do a barrel roll이라고 입력하면
화면 전체가 360도 한 바퀴 회전한다.
이건 닌텐도 게임 스타폭스(Star Fox)
시리즈에서 유래한 대사로
주인공이 공중제비를 할 때 나오는 명령어였다.
검색 결과는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회전 애니메이션이 잠깐 재생되며
시각적 재미를 주는 방식이다.
2025년 현재도 PC 크롬, 엣지
사파리 등 주요 브라우저에서는 정상 작동한다.
단, 모바일이나 저사양 기기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생략될 수 있다.
Atari breakout
구글 이미지 검색창에 ‘Atari Breakout’을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고전 게임 벽돌깨기(Atari Breakout)
형식으로 바뀌며 실제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이스터에그 기능이 있었다.
이미지 썸네일들이 벽돌처럼 배열되고
사용자는 마우스로 바를 조작해 공을 튕기며
벽돌을 깨는 방식이다. 이 기능은 Atari Breakout의
출시 37주년을 기념해 구글에서 추가한 것으로
현재는 일부 환경에서는 작동하지 않거나
비활성화된 경우도 있다.
Zerg rush
구글 검색창에 ‘Zerg rush’를 입력하면
검색 화면에 작고 노란색 또는 빨간색의 ‘O’ 모양
저글링들이 등장해 검색 결과를
하나씩 갉아먹기 시작한다.
이는 스타크래프트의 저글링 러시를
패러디한 이스터에그로 사용자는
마우스로 이 ‘O’ 들을 클릭해 파괴할 수 있으며
일종의 간단한 슈팅 미니게임처럼 진행된다.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의 검색 결과가 사라지고
화면에 ‘GG’라는 글자가 남는다.
현재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중력
‘Google Gravity’는 구글의 이스터에그 중 하나로
구글 검색창에 Google Gravity라고 입력한 뒤
‘I’m Feeling Lucky’ 버튼을 누르면
실행되던 웹 실험이다.
화면에 있던 로고, 검색창, 버튼, 텍스트 등이
중력의 영향을 받는 것처럼 아래로 떨어지고
마우스로 끌거나 던지며 물리 엔진처럼 움직일 수 있다.
반짝반짝
구글 검색창에 blink html을 입력하면,
검색 결과 중 해당 단어들 즉 blink와 html이
실제로 깜빡이며 표시된다.
이는 오래된 HTML 태그인 태그에 대한
오마주이자 이스터에그로 구글이 일부러
검색결과에서 해당 단어들만 깜빡이게 만든 효과다.
현재도 작동되는 브라우저가 있으며
단순하지만 기술자나 웹 개발자 사이에선
재치 있는 농담으로 통한다.
소닉
구글 검색창에 ‘소닉 더 헤지혹’을 입력하면
정보 카드에 등장하는 소닉 아이콘(반짝이는 고리 옆)을
클릭할 수 있다.
클릭 시 소닉 특유의 회전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며
여러 번 연타하면 머리카락이 노랗게 변하며
수퍼 소닉으로 변신한다.
이는 소닉 30주년 기념 이스터에그로
팬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으며
지금은 일부 브라우저나 환경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코난이 처먹은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