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숙원 사업 중 하나인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한국·일본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진전을 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가 세계 2~3위 LNG 수입국인 일본과 한국에 참여를 강력히 권유했지만, 실제로는 구속력 있는 투자의향서(LOI)조차 체결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노스슬로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약 1300㎞ 길이의 가스관을 통해 니키스키항으로 운송한 뒤 액화해 수출하는 사업으로, 2016년 엑손모빌과 코노코필립스가 사업에서 철수한 이후 표류해왔다.
특히 대규모 건설비와 경제성 문제로 참여국 설득이 쉽지 않았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국정연설에서 “일본·한국 등 각국이 이 프로젝트에 수조달러를 투자하길 바란다”고 압박한 바 있다.
이에 일본은 협상 당시 합작회사(JV) 설립을 언급했으나, 이후 백악관과 일본 정부의 공식 발표에서는 “참여 검토 중(examine)”이라는 표현으로 한발 물러섰다.
한국도 향후 4년간 100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약속했지만,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익명의 한국 정부 관계자는 FT에 “한국 기업 일부가 건설 파트너로 관심을 보이지만, 특히 가스관 건설의 경제적 타당성에 의문이 있다”며 “미국의 압박이 아니었다면 투자 고려 자체가 없었을 것(Korean gas buyers would not have considered the investment at all)”이라고 말했다.
FT는 제인 나카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구원을 인용해 러시아와 중국의 북극 영향력 확대 속에 “알래스카 경제 회복력을 높이는 것(buttressing)이 미국의 핵심 목표”라는 분석을 제시했다.
에너지 컨설팅사 라피단 에너지 그룹은 2단계 사업비만 600억달러(약 83조원) 이상으로 추산하며, 환경 소송 위험까지 겹쳐 사업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알렉스 먼튼 라피단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 프로젝트를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점이 리스크를 키운다”며 “기본 시나리오는 최종 투자 결정을 받지 못하는 것(our base case is that the project will not reach a final investment decision)”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