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65세, 연내 입법 가능할까…”사회적 대화 선행돼야”

정년 65세, 연내 입법 가능할까…”사회적 대화 선행돼야”

서울 여의도 국회 앞 계단에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조합원들이 65세 정년연장 법제화 국회입법촉구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현행 60세인 법정 정년을 65세로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공식화한 가운데, 정책 시행에 앞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년연장 논의가 이미 충분히 성숙된 만큼 단기간 논의로 합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5일 국회입법조사처는 ‘정년 65세 시대를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보고서를 통해 “정년연장 문제는 충분한 대화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법정 정년은 60세지만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65세다. 그 결과 5년간의 소득 공백이 발생해 고령층의 생계 안정과 노후소득 보장이 사회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대선 공약에서 법정 정년을 65세까지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연내 입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고용노동부도 사회적 대화를 기반으로 정년연장 방안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공익위원들은 노·사·정 합의가 어려워지자 ‘정년 60세 유지~65세까지 적정임금 재고용 의무화’라는 절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노사와 정부 모두 정년 연장과 고령자 고용 안정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는 분위기지만, 정년 연장의 구체적 내용·방식·시기 등 세부 쟁점에서는 이견이 존재한다. 노동계는 임금 조정 없는 정년 연장을, 경영계는 연공서열형 임금체계 개편과 병행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노동계는 정년 연장과 국민연금 지급 시작 시기의 연계를 주장하며, 고령 근로자의 생계 공백 해소를 위해 정년 연장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반면 경영계는 청년 고용 위축과 인건비 부담 등의 우려를 토로하며 충분한 이행 기간과 기업규모·업종별 탄력 적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해외의 경우 미국과 영국은 정년 상한을 폐지했고, 독일·프랑스는 연금 수급 연령을 기준으로 정년을 점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정년 60세를 유지하되 65세까지 재고용 의무화를 시행하고, 70세 취업은 기업의 노력 의무에 맡기고 있다.

입법조사처는 “정년연장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행 준비와 후속 조치가 병행될 때 연착륙할 수 있다”며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경사노위의 논의 틀을 넘어서는 사회적 대화 시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시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적·점진적 시행이 필요하다”며 “조기퇴직이 늘어나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책을 마련해 정책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일각에서는 사회적 합의가 장기화될 경우 정책 추진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영기 전 한국노동연구원장은 “현재까지 노동연구원·한국은행·KDI 등 여러 기관에서 연구 검토를 걸쳐 논의될 사안은 충분히 논의됐다고 본다”며 “경사노위나 국회 차원의 단기간 조정 회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당 사안에 대한 논의 성숙도를 보면 연내 입법해도 지장은 없다”면서도 “신정부 이후 통상·상법 등으로 기업들의 노동비용 상승이 갑작스럽게 확대가 되고 있어 그에 대한 건 또다른 변수”라고 덧붙였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