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르보이스] 다이소에서 새 지렁이 구조 장비를 발견했다

[엘르보이스] 다이소에서  새 지렁이 구조 장비를 발견했다

나는 다이소 주방용품 매대 사이를 해파리처럼 떠돌고 있었다. 세상 어딘가에 내가 찾는 도구가 있다면 여기뿐일 텐데, 괜찮아 보이는 물건이 눈에 띌 때마다 꺼내 쥐고 자세를 취해보았지만 좀처럼 딱 맞는 게 보이지 않았다. 며칠 전 고심 끝에 선택했던 실리콘 알뜰 주걱도 막상 실전에서는 끝이 너무 뭉툭해 작업에 실패했기 때문에 더욱 신중할 필요가 있었다. 조리 도구, 주방 잡화. 수입 아이디어 상품 코너까지 샅샅이 뒤진 끝에 실망하며 몸을 돌리는 순간, 베이킹 도구 코너에서 빛나는 그것을 발견했다. 스텐 스패출러 일반형(33cm), 올여름 나의 새 지렁이 구조 장비다.

여름은 태양과 장마 그리고 지렁이의 계절이다.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날 땅 위로 올라온 지렁이는 길에서 사람들에게 밟혀 죽거나, 다음날 내리쬐는 햇볕 아래서 말라 죽는다. 내가 지렁이를 구하기 시작한 것은 몇 해 전, 뜨거운 시멘트 바닥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지렁이를 화단으로 옮겨주고 싶어 하던 여자아이를 우연히 보고 도와준 후부터다. 처음에는 그냥 가까이 있는 나뭇가지로 지렁이를 들어 올려 젖은 흙 위로 돌려보내면 끝이었다. 그런데 그런 일이 거듭되다 보니 매번 적당한 나뭇가지를 찾는 일이 번거로웠다. 너무 가늘면 지렁이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너무 굵으면 바닥과 지렁이 사이에 밀어 넣을 수 없고, 가시나 마디가 도드라지면 지렁이에게 상처를 내기 때문이다. 이리저리 고민하다 빵집에서 받은 일회용 플라스틱 칼의 톱날 부분을 깎아내 매끈하게 만들었더니 기대 이상으로 쓸모가 있었다. 기왕 구하는 김에 지렁이를 돌려보낸 땅이 바짝 말라 있을 때는 물을 뿌려 적셔주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내 자그마한 산책용 크로스백은 물병과 분무기, 지퍼 백에 든 플라스틱 칼 따위로 가득 차게 됐다.

©unsplash

팟캐스트 〈영혼의 노숙자〉 공개 방송과 내가 발행하는 뉴스레터 ‘없는 생활’에서 지렁이 이야기를 하고 난 뒤부터 여름이 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지렁이 이야기를 살짝 귀띔해 준다. 그동안 자전거를 타다가 모르고 치어버린 지렁이들에게 미안하다거나, 출근길에 지렁이가 눈에 띄길래 풀잎으로 감싸 옮겨주었다거나, 아이와 산책하러 나갈 때마다 지렁이를 밟지 않도록 조심한다거나 하는 것들이다.

어느 날은 오래 만나지 못한 친구가 책 한 권을 보내줬다. 조던 스콧이 글을 쓰고 시드니 스미스가 그림을 그린 〈할머니의 뜰에서〉의 주인공은 캐나다에 사는 어린아이다. 작은 오두막집에서 텃밭을 가꾸며 혼자 사는 외할머니는 비 오는 날이면 아이를 데리고 천천히 걸으며 도랑이나 웅덩이에서 꿈틀대는 지렁이를 찾아 진흙을 채워둔 작은 유리병에 담는다. 그리고 토마토와 오이, 사과나무가 자라는 텃밭으로 가져가 지렁이를 땅에 내려놓고 흙으로 잘 덮어준다. 시간이 흘러 노쇠해진 할머니는 아이의 집으로 들어와 함께 살지만, 침대 밖으로 나서기 힘든 상태다. 어느 날 할머니와 함께 비 내리는 창 너머를 바라보던 아이는 혼자 밖으로 달려나가 빗속으로 뛰어든다. 이야기는 이렇게 끝난다. “나는 주울 수 있는 모든 지렁이를 주워요.”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든 한번 지렁이를 주워본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그것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란 걸.

사실 대부분 사람처럼 나 역시 길고 꿈틀거리고 미끈거리는 생물을 좋아하지 않는다. 지렁이를 손으로 만지지 않는 건 인간의 체온이 지렁이에게 화상을 입힐 수도 있다는 얘길 들어서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지렁이와 맞닿는 건 상상만 해도 조금 소름 끼친다. 지렁이는 개나 고양이처럼 사랑스럽거나 어느 정도 의사소통 가능한 존재가 아니고, 나 또한 결코 생태주의자라고 할 수 없기에 나의 지렁이 구조는 열성적이면서도 무심한 구석이 있다. 좋아하지는 않지만, 죽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unsplash

공장식 축산에 대한 반대도 적극적으로 실천하지 못하는 주제에 나와 직접적 이해관계가 없는 지렁이 몇 마리의 수명을 약간 연장하는 데 몰두하는 건 위선이고 기만이며 자기만족에 불과한 것 아닐까 고민한 적도 있다. 하지만 여러 해에 걸쳐 지렁이 걱정을 하다 보니 생각이 달라졌다. 어떤 존재가 단지 조금 느리다는 이유로 죽는 걸 보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있다면, 지금 내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벌어지는 죽음을 막고 싶다는 마음도 가질 수 있을 거라고. 그래서 지렁이로부터 조금씩 뻗어나간 생각은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죽어가는 팔레스타인 사람들, 폭염 속에서 작업장을 떠나지 못해 세상을 떠난 노동자들, 인간의 학대로 목숨을 잃은 동물로 향한다. 그런 죽음을 멈추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지렁이 한 마리를 들어 올리기보다 어렵겠지만, 아마도 그 모든 생명은 어딘가에서 연결돼 있을 것이다.

지난봄 약해진 관절 때문에 쪼그려 앉았다 일어날 때마다 무릎에서 비명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을 때 든 생각은 ‘그러면 지렁이는 어떡하지?’였다. 한 시간 산책하는 동안 많으면 서른 번은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는데, 이 상태라면 더위보다 무릎이 문제였다. 그래서 쪼그려 앉는 대신 허리만 굽혀도 되는 새 장비를 구입한 것은 여름철 지렁이 구조를 위한 사전 대책이었다. 다행히 길고 납작한 금속 소재 스패출러 덕분에 요즘 구조대의 효율이 무척 높아졌다. 물론 “칼싸움하기 딱 좋아요”라는 농담 섞인 제품 후기에서 알 수 있듯, 한밤중에 번쩍이는 쇠붙이가 달린 물건을 들고 공원을 돌아다니는 여자가 수상해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혹시 경찰에 신고라도 당하게 되면 이 글이 알리바이가 돼주길 바랄 수밖에.

최지은

10년 넘게 대중문화 웹 매거진에서 일했다. 〈괜찮지 않습니다〉와 〈엄마는 되지 않기로 했습니다〉를 펴냈다. 뉴스레터 ‘없는 생활’의 발신자. 늘 행복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재미있게 살고 있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