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거쳐 내년에는 전국에 장애아동 학급 신설 추진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이 특수교육이 필요한 장애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다고 선전해 주목된다.
국제사회에 정상국가 이미지를 투영하고 인권침해에 대한 비판을 반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조선중앙통신은 교육정보기술교류사가 손말번역지원프로그램 ‘손말 1.0’을 개발했다고 4일 보도했다.
손말은 수어(手語·수화 언어를 줄여 이르는 말)의 북한식 표현으로, 청각장애인들의 모어(母語)다.
북한은 정기적으로 비상설조선손말심의위원회를 열어 수어 단어를 실제 쓰이는 용어로 다듬는데, 작년 9월 3∼4일에도 제12차 회의가 열렸다.
작년 2∼7월에는 조선농인협회와 조선손말통역원협회 주관으로 손말교양원과 교원 양성을 위한 강습도 진행됐다. 새로 개발된 ‘손말 1.0’에는 이런 최신 논의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에는 평양시 화성구역 화원2유치원에 청각장애 어린이반이 문을 열었다.
수업은 일반유치원 교육과정안을 기초로 하되 청각장애 어린이들의 특성에 맞게 수어·발성·말하기 등 전문교육이 추가됐다.
이를 위해 교육연구원 다매체연구소가 40여편의 다매체편집물(영상)을 제작했으며 수어 교육 교재도 새로 출판했다. 어린이들은 셔틀버스를 타고 등·하원할 수 있다고 한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일반유치원에 청력장애어린이반을 내온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이 유치원에서 시범사업을 한 뒤 내년부터 각 도에 장애인을 위한 유치원과 학급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담임 교사인 박순영 교양원은 조선신보 취재진에 “청력장애어린이반의 운영을 시작해서 석 달 동안에 어린이들은 상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며 “어린이들이 간단한 단어를 입말과 손말로 표현할 수 있게 되였으며 집단 속에서 지내니 서로 도와주거나 남을 위하는 마음이 싹텄다”고 말했다.
북한은 작년 11월 7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사무소에서 열린 ‘보편적 인권 정례검토'(UPR) 회의에 참석해 주민들의 인권이 충실히 보장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리경훈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법제부장은 당시 “장애인·아동 관련 법률을 제정하는 등 인민의 인권 향유를 위한 법률적·제도적 조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그로부터 한 달여 만인 작년 12월 29일 당중앙위원회 제8기 제11차 전원회의에서 장애인 교육지원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cla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