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고용시장 악화가 기준금리 인하를 부채질한 모양새다. 4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가 하루 만에 반등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85.06포인트(1.34%) 오른 44,173.64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1.93포인트(1.47%) 오른 6,329.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3.45포인트(1.95%) 오른 21,053.58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지난 1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000명 증가해 시장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10만명)을 밑돌았고 실업률은 4.1%에서 4.2%로 0.1%p상승했다.
이에 대한 여파로 뉴욕증시는 직전 거래일인 1일 일제히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고용시장 악화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를 앞당길 것이란 기대감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하루 만에 반등 마감을 이끌어냈다.
특히 대형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2.0% 올랐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290억달러(약 40조원) 상당의 신주를 지급하는 보상안을 승인한 가운데 2.17% 올랐다. 엔비디아(3.62%), 메타플랫폼(3.51%), 알파벳(3.12%) 등도 큰 폭으로 반등했다.
아마존은 직전 거래일 8%대 급락에 이어 이날도 1.46% 떨어지며 하락세를 이어갔는데 클라우드 사업 부문 실적 우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마이크 딕슨 리서치·퀀트전략 수석(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은 “노동시장 우려가 대두됐지만 금리인하 기대 강화가 이를 상쇄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