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폭염·호우 중대본 2년 연속 동시가동

기후변화로 폭염·호우 중대본 2년 연속 동시가동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과 호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작년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동시에 가동되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서울상황센터에서 호우 대비 관계기관 긴급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가동 중인 폭염 중대본에 이어 이달 3일 호우 중대본이 추가 가동되면서 두 중대본이 3일째 동시에 운영되고 있다.

폭염 중대본과 호우 중대본이 중복해서 운영된 사례는 2019년 폭염 중대본이 처음 가동된 이후 올해가 두 번째다.

첫 사례는 지난해로 7월 31일~8월 28일 역대 최장기간인 29일간의 폭염 중대본이 가동된 가운데 8월 5일 전라권과 강원도를 중심으로 호우 특보가 내려지며 호우 중대본이 하루 동안 함께 가동됐다.

올해는 폭염 중대본이 7월 25일부터 가동 중인 가운데 3일 호우 중대본이 발령되면서 3일째 두 중대본이 동시에 운영되는 상황이다.

아울러 폭염과 태풍 중대본이 겹쳐 가동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2019년에는 폭염 중대본이 8월 3~6일 운영한 가운데, 태풍 ‘프란치스코’ 대응을 위한 중대본이 8월 5일~7일 가동되며 이틀간 중첩 운영됐다.

또 2023년에는 폭염 중대본이 8월 1일 가동된 뒤 8월 8일 종료됐는데, 태풍 ‘카눈’ 중대본이 8월 7~11일 잇달아 운영되며 이틀간 겹쳐 가동됐다.

지난해에도 8월 20~21일 ‘태풍’ 종다리의 북상에 따라 중대본이 가동되며 이틀간 두 중대본 운영 기간이 겹쳤다.

이런 현상은 최근 한반도에서 폭염이 지속되다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는 극한 기상현상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행안부는 인명피해 최소화에 방점을 두고 재난 대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극한 기상현상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추세”라며 “앞으로도 이런 상황에 대비해 선제 대응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대본은 지난 3일부터 남부지방에 집중된 호우로 전남 무안에서 1명이 숨지고, 주민 약 2500명이 임시 대피했다고 밝혔다. 다만 3일 무안에서 발생한 60대 사망사고가 자연재난에 의한 인명피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비는 4일 잠시 소강상태로 접어들었지만, 5일부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또 다시 비가 예보돼 당국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