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로 ‘4조달러 클럽’에 입성한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의 호실적 강세로 출발했던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장중 MS의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져 나와 상승분을 대거 반납했다.
여기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약사에 의약품 가격을 낮추라는 행정명령을 내리면서 위험 회피 심리가 더욱 강해져 결국 약세로 마감했다.
31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0.30포인트(0.74%) 떨어진 44,130.98에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51포인트(0.37%) 밀린 6,339.39에, 나스닥종합지수는 7.23포인트(0.03%) 내린 21,122.45에 장을 마쳤다.
MS는 2분기 호실적에 장중 시가총액 4조달러를 돌파했다. 4조달러 돌파는 이달 초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다. MS의 장중 오름폭은 8.22%에 달했지만 시총 4조달러를 넘어서자,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3.93%의 상승률로 마감했다.
매타는 11.2% 급등했다.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연간 설비투자 전망치를 기존보다 상향 조정한 것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AI(인공지능)관련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도 영업이익률이 예상보다 높았던 점이 시장에 호재로 작용한 것이다.
두 회사를 제외하면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실적은 실망감을 안겼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넘게 급락한 가운데,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1개 종목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은 13.44% 급락했고 이 여파에 AMD와 ASML, 퀄컴 등 주요 AI 및 반도체 기업 모두 하락했다.
조셉 쿠식 수석 부사장 겸 포트폴리오 매니저(칼라모스인베스트먼트)는 “견고한 실적, 설비투자, 자사주 매입 활동에도 불구하고 시장 반응들은 갈수록 정당화하기 어려워지는 흐름”이라며 “다만 하락세는 제한적이었다”고 말했다.
장 마감 후 애플은 2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0% 증가한 940억4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12% 증가한 1.57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모두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아마존은 2분기 매출이 1677억달러, EPS는 1.68달러로 발표했다. 마찬가지로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