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팟 터졌다” LG엔솔, 테슬라와 6조원 규모 ESS용 LFP배터리 공급 계약

“잭팟 터졌다” LG엔솔, 테슬라와 6조원 규모 ESS용 LFP배터리 공급 계약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홀랜드 공장 전경 (출처 : LG에너지솔루션)

[엠투데이 최태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와 6조원 규모의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3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의 ESS에 쓰일 LFP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며, “미국 공장에서 생산해 공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테슬라는 최근 삼성전자와 23조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칩 위탁 생산 계약을 맺은데 이어 LG에너지솔루션과도 미래 먹거리를 위해 협력하게 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총 5조 9,442억2,734만원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 대비 23.2%에 해당하는 규모다. 계약기간은 2027년 8월 1일부터 2030년 7월 30일까지 3년이며, 최대 7년까지 연장과 공급 물량 확대 옵션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의 단일 계약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경영상 비밀유지 필요에 따라 계약 상대 등 상세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밝혔지만, 최근 미국에서 ESS용 LFP 양산 체계를 구축한 만큼 북미 지역에서 ESS용 LFP를 공급할 것이 유력하다.

앞서 테슬라는 올해 1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LFP 배터리 수급과 관련해 관세 등에 따라 중국이 아닌 미국 내 기업으로 공급처를 찾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5월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본격 양산을 시작했다. 현재까지 국내 배터리 기업들 가운데 북미 현지에서 ESS용 LFP를 생산하는 유일한 거점이다.

LFP는 저가형 배터리로 CATL, BYD 등 중국 기업들이 사실상 시장을 장악한 제품이다. 국내 기업들도 최근 LFP 개발에 뛰어들기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시장 반등을 노리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업체 6곳(CATL·BYD·CALB·EVE·고션·선와다)의 합산 점유율은 2023년 63%에서 지난해 74%로 뛰었다. SNE리서치는 이 같은 시장 흐름의 배경으로 저가형 LFP 배터리의 빠른 확산을 꼽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을 중심으로 ESS 배터리 수주를 활발히 진행해 왔다. 지난 3월 테슬라, 애플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는 글로벌 에너지 관리 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4기가와트시(GWh) 규모의 계약을, 지난해 11월에는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 테라젠과 최대 8GWh 규모로 ESS용 LFP 배터리 납품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앞선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는 하반기 북미 ESS시장 공략 계획을 밝혔다.

이번 수주를 발판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미중 무역 갈등 속 북미지역에서 중국산 배터리의 대체제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향후 K배터리의 미국 현지 투자 역시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