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72주년을 맞아 ‘전승절’ 기념행사를 열며 대미 적개심을 고조시켰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올해 별도의 메시지를 내지 않았지만, 매체들은 여전히 반미 정서를 강조하며 전승절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조선중앙통신은 27일 보도를 통해 전날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청년·학생들이 참여한 야회(무도회) 행사가 진행됐다고 전했다. 북한은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협정을 1973년 ‘조국해방전쟁 승리기념일’로 지정한 뒤, 1996년부터는 ‘전승절’이라는 국가 명절로 격상해 기념하고 있다.
북한은 매년 전승절을 체제 선전과 대외 메시지를 발신하는 계기로 활용해왔다. 김정은 위원장은 2020년과 2021년에는 연속으로 행사에 참석해 직접 연설했고, 2022년에는 윤석열 당시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새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다.
그러나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김 위원장의 공개 메시지는 북한 매체를 통해 보도되지 않았다. 이는 내부적으로 김 위원장이 전략적 침묵을 택했거나, 대외 메시지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반면,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사설을 통해 “전승절은 미제를 타승한 민족적 자부심의 상징”이라며 강도 높은 반미 서술을 이어갔다. ‘위대한 전승 7.27은 주체조선의 불패성과 강대성의 상징으로 영원히 빛을 뿌릴 것이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신문은 “원자탄을 휘두르는 제국주의 강적도 능히 타승할 수 있다는 진리를 새겼다”고 주장했다.
김해미 기자 khm@autotribu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