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Kolesa.ru
[엠투데이 이세민 기자] 과거 가성비 소형 SUV로 주목받았던 기아 스토닉이 완전히 달라진 모습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유럽에서 페이스리프트 모델 테스트 차량이 포착된 데 이어, 이를 기반으로 한 예상 이미지가 공개되며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시장 재출시는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유럽 매체 Kolesa.ru가 공개한 예상도에 따르면, 신형 스토닉은 기아의 최신 디자인 언어인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를 전면적으로 적용받는다.
출처: Kolesa.ru
전면부는 수직형 헤드램프와 가로형 주간주행등이 조화를 이루며 EV9, 신형 K4를 연상시키는 미래지향적 인상을 준다. 후면부에는 EV5와 유사한 스타맵 시그니처 테일램프가 적용돼 전면과의 일체감을 강조한다.
신형 스토닉은 단순 내연기관 모델이 아닌 마일드 하이브리드 혹은 풀 하이브리드를 중심으로 출시될 가능성이 크다. 유럽 B세그먼트 SUV 시장에서 전동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아는 니로, 셀토스, 소렌토 등 상위 SUV에서 하이브리드 비중을 확대해왔으며, 스토닉 역시 연비 효율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겨냥한 엔트리급 SUV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스토닉은 2017년 출시 당시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국내 시장에 진입했지만, 레이와 셀토스 사이의 애매한 포지셔닝으로 판매 부진을 겪었다.
공간 효율성·가성비를 갖춘 레이, 디자인·상품성에서 우위를 점한 셀토스 사이에서 정체성이 모호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20년 단종됐다.
현재 셀토스, 니로, 레이로 소형 SUV 라인업이 이미 포진한 상황에서, 스토닉을 다시 들여올 경우 내부 경쟁 심화 우려가 크다.
스토닉의 페이스리프트는 유럽 및 신흥 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전략으로 해석된다. 출시 이후 8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던 만큼, 이번 리뉴얼을 통해 유럽 B세그먼트 SUV 시장에서의 존재감 회복을 노린다.
특히 대담한 디자인 혁신과 친환경 파워트레인을 결합해 시장 요구에 부응하는 전략이 돋보인다.
국내 재출시는 불투명하지만, 기아가 엔트리급 SUV에도 최신 기술과 디자인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