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녹아내린 핵연료 잔해(데브리)의 본격적인 반출 시점을 당초 계획보다 10년 가까이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사고 원전 폐로 완료 목표인 2051년 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9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동일본 대지진 이후 사고 수습을 담당해온 원자력손해배상·폐로지원기구(NDF)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 당시 손상된 13호기 원자로 내 대규모 핵연료 잔해를 꺼내기(大規模取出し) 위한 준비 작업에만 12~15년이 소요될 것으로 도쿄전력이 설명했다”고 밝혔다.
도쿄전력은 애초 2030년대 초반 3호기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핵연료 반출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준비 공정과 기술적 제약 등으로 인해 일정 전면 재조정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다.
사고 원전 폐로의 최대 난관으로 꼽히는 이 핵연료 반출 작업은 현재까지 1~3호기에 약 880t(톤)의 핵연료 잔해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쿄전력은 지난해 핵연료 잔해 0.7g을 꺼내는 데에 성공했으나 시험적 반출 시도 외에 실질적인 진척이 거의 없는 상태다.
이날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현재까지도 본격 반출을 위한 공법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다만, NDF의 제언에 따라 원자로 건물 상부에 소형 구멍을 뚫고, 내부 핵연료를 충전재로 굳힌 뒤 분쇄해 꺼내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성 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도 함께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3호기 북측에 위치한 폐기물 처리용 건물 해체 작업이 선행돼야 할 뿐 아니라 이 작업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핵연료 반출 작업이 지연됨에 따라 일본 정부가 설정한 ‘2051년까지 폐로 완료’ 목표도 흔들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로 NDF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구체적인 폐로 완료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며, 계획 수정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