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체를 눈앞에 둔 KT 위즈 선발진에 변수가 생겼다. 패트릭 머피가 통증을 호소했다.
이강철 KT 감독은 27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은행 SOL 뱅크 KBO리그 삼성 라이온즈와의 홈 경기를 앞두고 향후 선발진 계획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감독은 “패트릭이 지난 NC 다이노스전(23일)에서 번트 타구를 잡으려고 몸을 날렸는데, (왼쪽 늑골 부분에) 약간의 통증이 있는 것 같다고 한다. 검진 결과는 이상이 없는데, 무언가가 걸린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대체 외국인 투수 패트릭은 이날(23일) KBO 선발 데뷔전을 치렀다. 4이닝 49구 1피안타 2볼넷 2탈삼진 1실점(비자책)으로 호투해 합격점을 받았다. 다만, 투구 수를 45~50개로 정해두고 던진 경기라 선발보단 점검 차원에서의 오프너 등판에 더 가까웠다. 투구 수를 더 끌어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날 입은 통증으로 패트릭의 향후 기용 계획이 다소 틀어졌다. 이강철 감독은 “로테이션대로라면 29일 잠실 LG 트윈스전에 등판할 계획이었지만, 등판은 힘들 것 같다”며 “28일 캐치볼 후에 계획을 정할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등판(18일 한화 이글스전) 이후 열흘 이상 휴식을 취한 오원석의 등판을 하루 앞당기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다만 패트릭이 하루 뒤인 29일에도 등판이 어렵다면 대체 선발 투수를 써야하는 상황을 마주한다. ‘6선발’ 배제성마저 팔꿈치 염증으로 1군에서 제외돼 로테이션이 꼬였다.
가장 중요한 ‘소형준 관리’도 달려 있어 골치가 아프다. 2023시즌 팔꿈치 수술(토미 존 서저리)을 받은 소형준은 올해 복귀 후 첫 풀타임 시즌을 치르고 있다.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 소형준은 18경기 109⅓이닝을 치렀는데, 이강철 감독은 올해 소형준에게 130이닝만 맡길 생각이다. 11이닝 정도가 남은 가운데, 패트릭이 선발에 안착하면 소형준을 불펜으로 돌릴 계획이었으나 그의 통증으로 계획이 다소 꼬였다.
이강철 감독은 “모든 게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소형준이 너무 잘해주고 있어서 안 쓰긴 아깝고, 관리를 또 안 해 줄 순 없다. 패트릭의 상황을 조금 지켜보려고 한다”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패트릭이 큰 부상이 아닌데다, 지난 두 경기에서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이다. 패트릭은 지난 18일 한화전에서 2이닝 무실점, 23일 NC전에서 4이닝 1실점했다. 이강철 감독은 “(23일 경기에서) 49구로 4이닝을 막아준 건 고무적인 일이다”라면서 “다음에 등판할 때는 60~70개 정도 던질 것 같다”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