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내년까지 연구용역…피해 예방사업 순위에 반영
(인천=연합뉴스) 황정환 기자 = 해수면 상승으로 인천 앞바다 섬 침수 피해가 되풀이되자 지방자치단체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인천시 옹진군은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큰 대조기 때 빈발하는 섬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8천500만원을 들여 다음 달부터 1년간 연구용역을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100여개의 섬들로 이뤄진 옹진군의 특성에 맞춰 도서별 해수면 상승 추이와 침수 피해 사례를 토대로 지역별 위험도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옹진군은 재난안전법에 따라 매년 수립하는 안전관리계획에 용역 결과를 반영하고 정부의 중장기 재해 예방사업과도 연계해 국비 확보를 추진할 방침이다.
옹진군은 그동안 대조기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공무원을 현장에 투입해 안전을 관리하는 수준에 그쳤으며 침수 피해 통계도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집계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8∼9월 대조기 당시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등 옹진군 도서 지역에서는 도로 34곳, 물양장 17곳, 주택 5곳, 새우양식장 1곳 등 모두 57곳이 침수 피해를 봤다.
1924년 조성된 서해 3대 어항 중 하나인 덕적도 북리항은 대조기 때 바닷물이 도로와 주택까지 들이쳐 주민들이 무릎까지 차오른 물을 밤새도록 퍼내기도 했다.
국립해양조사원 분석 결과 인천 해수면은 1989년부터 2023년까지 35년간 연평균 3.15㎜씩 상승했다.
옹진군은 이번 용역과 별개로 시비 30억원과 군비 33억원을 합쳐 총 60억원을 투입해 연말까지 침수 피해가 잦은 덕적도 북리 해안도로 500m 구간에 차수벽을 설치하고 저류지와 배수지를 정비할 계획이다.
옹진군 관계자는 “해수면 상승으로 대조기 때 침수 피해를 보는 곳이 많다”며 “용역을 통해 섬별로 위험등급을 분류하고 사업 우선순위를 정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hw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