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경덕 인스타그램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메타의 플랫폼 인스타그램 지도 속 독도 오표기를 지적했다.
서경덕 교수는 24일 인스타그램 계정에 “세계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의 지도 서비스에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해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 제공되는 지도에서는 ‘DOKDO’(독도)로 올바르게 표기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TAKESHIMA’(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되고 있다”고 적었다.
이어 “다른 나라에서는 언어 설정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오지만 대부분이 독도 표기를 아예 안하거나, ‘리앙크루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하고 있었다. 구글 지도에서도 한국 내에서만 독도로 정확히 표기했고, 일본 내 검색에서는 다케시마로 표기했으며, 다른 나라에서는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해 논란이 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서경덕 교수는 “아이폰 지도에서는 한국에서만 독도로, 일본에서는 竹島(다케시마)로 표기했으며, 다른 나라에서는 독도 표기가 아예 없는 상황이다. 이에 지난 몇 년간 구글과 애플 측에 꾸준히 항의를 해 왔지만 아직까지 시정이 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과거 마이크로소프트(MSN)가 독도에서 일본 측 날씨 정보를 제공해 논란이 된 후 항의를 통해 시정이 된 사례가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향후 인스타그램 지도와 전 세계 수십억 누리꾼이 이용하는 구글과 아이폰 지도에서 올바른 독도 표기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항의를 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그런 가운데 구글과 애플은 정부에 지도 데이터를 내놓으라고 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정부도 관세를 통해 이들 글로벌 기업에 힘을 실어줄 모양새다. 하지만 정작 대한민국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정보조차 수정조차 없는 글로벌 플랫폼사가 무슨 권리로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 지도 데이터를 글로벌 기업에 넘겨줘야 하는지 의문이다.
한편 서경덕 교수는 대한민국을 알리는 데 공헌하는 인물로 송혜교, 김남길 등 많은 스타와도 대한민국을 제대로 알리는데 일조하고 있다.
● 다음은 서경덕 교수 SNS 전문
세계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의 지도 서비스에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한국에서 제공되는 지도에서는 ‘DOKDO’(독도)로 올바르게 표기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TAKESHIMA’(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되고 있습니다.
.
또한 다른 나라에서는 언어 설정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오지만 대부분이 독도 표기를 아예 안하거나, ‘리앙크루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하고 있었습니다.
.
구글 지도에서도 한국 내에서만 ‘독도’로 정확히 표기했고, 일본 내 검색에서는 ‘다케시마’로 표기했으며, 다른 나라에서는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해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
아이폰 지도에서는 한국에서만 ‘독도’로, 일본에서는 ‘竹島’(다케시마)로 표기했으며, 다른 나라에서는 독도 표기가 아예 없는 상황입니다.
.
그리하여 지난 몇 년간 구글과 애플 측에 꾸준히 항의를 해 왔지만 아직까지 시정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
하지만 과거 마이크로소프트(MSN)가 독도에서 일본측 날씨 정보를 제공해 논란이 된 후, 항의를 통해 시정이 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
이처럼 향후 인스타그램 지도와 전 세계 수십억 누리꾼이 이용하는 구글과 아이폰 지도에서 올바른 독도 표기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항의를 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홍세영 동아닷컴 기자 projecthong@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